허가받지 않은 번역물이므로 저작자의 요청이 있으면 언제든지 개제 중지 됩니다. 함부로 퍼가셔서 발생되는 법적인 문제는 당신 탓입니다. 출처 : https://www.angularjs.org/ Why AngularJS?왜 AngularJS? HTML is great for declaring static documents, but it falters when we try to use it for declaring dynamic views in web-applications. AngularJS lets you extend HTML vocabulary for your application. The resulting environment is extraordinarily expressive, readable, a..
http://bage.tistory.com/687
http://www.oops4u.com/1744
1. Node.js 개발 환경 구축 (참조 URL : https://github.com/joyent/node/wiki)Node js의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와 관련 내용 검색을 통해 구성했습니다. 1-1) 우분투 설치 (2013. 1. 17일 기준)OS : Ubuntu server 12.04 LTS 64bit기본 설치 프로그램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진행. ($ apt-get install update ) 1-2) Node js 설치 (패키지 매니저 이용 방법)[컴파일 요구조건]- GNU make 3.81 이상- Python 2.6 혹은 2.7- libssl-dev (Node v0.6.x only)- libexecinfo (FreeBSD, OpenBSD only..
Node.js 소개Node.js 란!
STUDY 2. HTML5 TAG [참고 서적]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HTML5 & CSS3 : 실전 웹 표준 사이트 제작까지 (양용석 지음) HTML5에서 추가된 TAG와 사라진 TAG에 대한 표를 작성한다. 두고 두고 봐야 할 내용이 아닐까? HTML5에 추가된 TAG 웹페이지의 본문을 정의할 때 사용 Article의 내용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하는 콘텐츠를 넣을 때 사용 오디오를 재생할 때 사용 그래픽을 보여줄 때 사용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해 구현, 게임) 명령 버튼을 만들 때 사용 드롭다운 리스트를 만들 때 사용 플러그인이나 플래시 요소를 보여줄 때 사용 와 함께 사용. 의 캡션을 추가할 때 사용 이미지나 사진, 코드 등을 보여줄 때 사용 하단 내용을 정의할 때 사용 헤더를 정의할 때 사용 H1부..
STUDY 1. DOCTYPE [참고 서적]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HTML5 & CSS3 : 실전 웹 표준 사이트 제작까지 (양용석 지음) HTML 가장 상단에 선언되는 Doctype. 평소 모르고 지나갔었지만 왠지 매번 궁금하던 그 Doctype에 대해 나온게 있어 적어 놓는다. HTML은 고직식하다.XML과 비교하면 HTML은 자유도가 0에 가깝다. 거기다 문서 구조도 명확하게 구분지어져있다. 너무 고지식하다. 하지만 이런 고지식 때문에 브라우저는 정해진 구조에 따라 파싱을 하며 우리에게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 거겠다. 브라우저님의 이해도DTD라는 말을 해야겠다. Document Type Definition, 우리 나라 말로 문서 유형 정의라고 읊으면 되시겠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정해진 구조. 요것이 즉..
CodeIgniter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한다. 여차 여차 해서 하루정도 삽질 하니 설치가 완료 되었다. 모든 고수분들이 말씀하길 '검색'하면 길이 열린다 하였다. 다음의 삽질을 방지하기 위해 기록을 남기니 다음에 또 설치할일이 있으면 참고하도록 하겠다. [설치 따라하기]1. 우분투 설치 -> APM 설치 -> PHPMyAdmin 설치 글은 이전 글들을 보면 자세히 써있다.우분투 12.10 으로 설치를 하였으나 앞으로 얼마나 변할지 모르겠다.APACHE 같은 경우는 이전과 많이 달라진 듯 하다. (페도라만 쓰다가 데비안계열로 넘어와서 그런가?) 2. MOD_REWRITE 모듈 설치앞에서 잘 따라했으면 rewrite module이 이미 설치가 되어있다. 아파치 설치 폴더에 접근..
CI(Code igniter)로 옮겨간지 어언 2주 정도 된듯 싶다. 프레임워크란 것이 참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끼며 REST며 OAuth며 하나둘씩 본격적인 틀을 맞추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OAuth가 쉽지가 않다. 참고 링크http://dev.kthcorp.com/2012/12/12/oauth-2-0-open-api-auth/ KTH에서 개발자 블로그에 보면 이런 글이 있다. 물론 NHN의 Hello World라던지 다음의 개발자 센터에도 OAuth의 글들이 많이 올라와있다. 여기에다 티스토리나 각종 주요 포털에서 OAuth 형식을 제공해주고 있으니 이와 관련한 서비스를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하겠다. 문제는.. 서버 구축인데..서버는 OAuth 자체에서 제공을 일부 해주고 있고 명세서에..
오늘은 두서 없이 써보겠다. PHP 4 이후로 손놨던 녀석을 요근래 다시 잡으려고 하니 겨우 1년 남짓 안했을 뿐인데 XE 엔진부터 킴스큐 에다가 각종 프레임워크까지!! 어휴... OpenAPI에 대한 내용은 조금만 검색하면 무지하게 나온다.오늘은 생각 정리 차원에서 포스팅을 남기려고 한다. Facebook, Google, Twitter 이 정도가 내가 최근 가장 많이 참고하는 곳이다.그중에서 가장 자주 들어가는 Facebook Facebook은 2가지 API가 있는데 Graph API와 구버전 REST 형식의 API이다.OpenAPI는 RESTful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당연시 되는 것 같다. Request에 대한 Response를 XML이나 JSON 형식으로 전달해주는게 가장 일반 형태. Slim ..
서버와 통신하는 APP 개발. Server 구현편 Android, iOS, Windows 8 그외 여타 OS에 포함된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들은 서버와의 통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대다수의 앱들은 서버로부터 Update를 체크하고 DRM 여부를 확인 하여 불법 사용자인지를 확인 하거나 광고를 내려줘 수익성을 창출 한다. 이제 앱 개발에 서버와의 통신은 필수 조건이라 생각하는데 처음 진입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테스트 용도로 만들어 볼수 있음직한 수준으로 내용을 적어 보려고 한다. WEB 서버의 자세한 내용은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보아오는 WEB Page라는 것은 우리가 요청(Request)하고 그 결과를 서버에서 날려주면(Response) 사용하는 브..
WEB 쪽 일은 당분간 안할 줄 알았는데 세상이 이걸 모르면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해졌다.SNS 쪽 파트를 담당하면서 OpenAPI쪽 개념을 잡아가다 보니 프로젝트 구현을 하다보면서 점차 이러한 방식으로 기울어지고 있다. PHP가 다시금 떠오르는 상황인 듯 한데.. 뭐 웹언어야 언제든 적절하게 사용을 하는 것이니 여러가지 맛을 보면 좋을 듯 하다. PHP 프레임워크를 이것저것 찾다보니 다양한게 많다.ZEND만 알던 시절이 있었는데 어느새 이것저것 나오기 시작했다.그런데 이걸 쓰자니 왠지 애매모호하고 시간도 없고 해서 필요한 것만 쓰려고 찾다 보니 Slim Frame work를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이걸 검색하면 엉뚱한 옷만 나온다. 정말이지.. 에휴.. 이 Slim 프레임워크는 템플릿을 ..
Windows 서버에 PHP + Pear 설치하는게 꾀나 고통이다.APM_SETUP을 이용한 설치는 PHP 폴더에 보면 go-pear.bat 가 있는데 그냥 설치하면 이게 없다. go.pear.php 파일을 하나 만든다.http://pear.php.net/go-pear.phar 로 접속한다.접속 하면 안에 내용이 표시되는데 이걸 복사 해서 go.pear.php 파일에 쏙 넣는다. 콘솔창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php go.pear.php 그러면 설치를 시작한다. 1. System/Local 선택 : 나는 System으로 선택함2. 1-12 번호 선택 항목 수정, Enter 그냥 진행 : 별다른게 없으면 그냥 진행한다. 설치 끝.
어마 어마하게 많은 포스팅이 있다.예전에도 서버 설정하다 보면 이런 것 때문에 정작 어떤 문젠지 확인을 못해 속만 태웠는데 역시나 검색해보니 금새 나온다. 해결 방법) 서버 관리자 - >IIS 웹서비스 설정 - > 오류 페이지오른쪽에 보면 '기능 설정 편집' 이라고 있는데 이걸 선택해서 '자세한 오류'에 체크하고 저장하면 된다. 물론 ASP를 쓸경우에는 IIS 웹서비스 설정 -> ASP 에 들어가서 오류를 브라우저로 보내는데 True로 체크해야 한다.PHP는 php.ini에서 error_reporting 값을 변경해주면 된다. 끝
HTML5를 공부하면서 ADOBE에서 왜 모바일 기기의 플래시 지원을 중단했는지 알 수 있었다. 어떠한 웹 형태로의 구현일지는 모르겠으나 JavaScript와 거리도 멀고 Canvas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고 생각해서 Canvas에 가장 근접한 게임 소스를 분석해보기로 했다. 참고 URL : view-source:http://www.kesiev.com/akihabara/demo/game-capman.html 내 방식도 좋지만 남의 소스 방식을 보면서 나의 잘못된 점을 뉘우치는 것도 좋은 거라 생각한다. 순수한 기행문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삼가할지도 모른다. 이렇게 적는 이유는 집중이 잘 되서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1. 소스 구조 (game-capman.html) Head를 보니 js를 많이 ..
우여 곡절 끝에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었다. 이제 열심히 다시 STUDY를 해서 능력을 높여야겠다. 그 시작으로 HTML5를 잡았다. http://www.sqler.com/bHTML5 좋은 강좌가 있어서 좋은데.. 일단 역시 코딩만이 경험치를 올릴수 있으니 좀 레퍼런스좀 찾아서 해봐야겠다. canvas 정리해놓으신 솜씨가 있다. http://coronasdk.tistory.com/entry/HTML5-Canvas-%EC%9D%B4%EC%9A%A9%ED%95%98%EA%B8%B0-01 canvas 튜토리얼 https://developer.mozilla.org/en/Canvas_tutorial http://www.whatwg.org/specs/web-apps/current-work/multipage/the-c..
재빠르게 이어서 써야지만 잊어 먹지 않으니 바로 시작하겠다. 단말 통신을 위한 테스트 페이지 구축이므로 Request 부분은 생략한다. 단말통신은 추후 안드로이드 관련 포스팅이 끝나면 링크를 걸도록 하겠다. 1. HTTP Header 내용 얻어오기 // Util Function function getHeaders($HeaderName) { foreach (getallheaders() as $name => $value) { if($name == $HeaderName) return $value; } } 이 부분은 HTTP 헤더에서 우리가 Request 시 보냈던 항목을 가져오는 내용이다. $mobileTest = getHeader(" MOBILETEST "); $mobileTest에서는 우리가 앞절에서 보낸..
대상 : 서버(Windows, Linux, Unix)에 APM이나 IIS를 구축해서 웹페이지를 아주 적게나마 구축해본 경험자 1. 프로토콜 정의 HTTP 통신을 활용하는데 무슨 프로토콜이란 말인가 하겠으나 그 안에서도 역시 정의를 해줘야 한다. 여기서는 소켓 통신까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HTTP 통신 방식에는 GET, POST 기타 등등이 존재하고 있고 여기서 어떤 방식을 사용하며 HTTP 헤더에는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2. Request & Response Flow로 그려야 할 당연한 작업이다. 서버에 요청(Request) 한다는 것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URL에 접속한다는 의미가 될것이다. 서버에서는 이 요청사항을 URL과 HTTP에 실려온 정보들을 판단하여 그 응답..
프로젝트가 끝났으니 좀 자세히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다. (무엇보다 검색하면 바로 엔진에 잡혀서;; 좀 자세히 적어야 할 것 같아서 추가한다;) 다윈 스트리밍 서버는 애플에서 오픈 프로젝트로 진행한다고 하는데 5.5.5버전 이후로는 윈도우용은 별도로 컴파일을 해야 사용 할 수 있다. 감히 해볼 생각을 안하고 5.5.5로 가볍게 하기로 했다. [다운 받는 곳] 설치 버전 : http://dss.macosforge.org/downloads/DarwinStreamingSrvr5.5.5-Windows.exe Perl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받으면 된다. 아래 싸이트를 이용해서 Perl 설치를 마무리 지면 좋다. [도움된 싸이트] 1. http://generally.wordpress.com/2007/08/07/how-..
- Total
- 536,811
- Today
- 0
- Yesterday
- 39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Libgdx korean manual
- 나스
- Windows Mobile 6
- 안드로이드 게임 개발
- 아이폰
- 호루루의 일상 17화
- opencv
- Nas
- COCOS2D-X
- 호루루의 일상
- Android Tile 게임 제작하기
- 아이폰 세미나
- 도트찍기
- 구피 죽음
- cocos2dx 분석
- libgdx
- EOS 40D
- 가족농장
- Android
- EOS40D
- 안드로이드 개발
- 상토를 이용한 수초어항
- 안드로이드
- 호루루의 물생활 이야기
- Tile based games
- 들깨 수확
- 체리새우
- 안드로이드 테스트 유틸
- 물생활 이야기